19장 - 재무분석비율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
1. 재무분석의 개요
| 재무분석
기업의 자본조달과 운영이 효과적으로 이행되고 있는지 기업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 입니다.
| 재무비율분석
재무제표와 포괄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과 효율성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.
- 장점
포괄손익계산서나 재무재표는 구하기가 쉽기때문에 비용이 들지 않고, 계산이 간단하다. 또한 적은 비용으로 기업의 지급능력,안정성,효율성,수익성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,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.
- 단점
과거의 정보를 바탕으로 건전도를 평가하였기에, 미래에 대한 예측은 어렵고, 상대적 정보인 재무비율만으로 다른 기업들 간에 비교-평가가 어렵다는점, 기업간 비교를 위한 표준비율의 선정이 어렵다는점, 종합적인 분석이 어렵다는점 등이 있다.
아래 내용은 공식을 외우려고 하지 마시고, 용어의 뜻을 바탕으로 이해하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^^
1. 재무비율분석의 종류
| 안정성 평가
기업이 단기채무를 갚을 능력이 어느정도인지 측정하는 비율입니다. 경기변동과 같은 갑작스러운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.
::: 유동비율
기업의 단기부채 상환능력을 파악하는 비율입니다. 최소한 100% 이상 유지해야하며, 200%이상이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아래 식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, 자산의 흐름보다 부채의 흐름이 크다면 위험한 상황인 것입니다.
유동비율(%) = (유동자산 / 유동부채) * 100(%)
::: 부채비율
기업의 전체적인 재무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비율입니다.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좋지만, 경기가 호황일 경우 부채비율이 높더라도 부채를 통한 수익을 많이 낼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여건을 고려해서 안전성을 판단합니다.
부채비율(%) = (부채총액 / 자본총액) * 100(%)
::: 당좌비율
총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뺀것을 당좌자산이라고 합니다. 즉, 현금, 예금, 매출채권 등 현금화가 빠른 당좌자산의 비율로,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비율입니다. 당좌자산이 많다면 유동부채가 많더라도 값을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100%이상일 때 안전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당좌비율(%) = (당좌자산 / 유동부채 * 100(%)
::: 순운전자본 대 총자본비율
순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것으로, 실제적으로 운용할수 있는 자본을 말합니다. 총자본대비 운용자금 여력이 클수록 안정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30% 이상이 양호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.
순운전자본 대 총자본비율(%) = (순운전자본 / 총자본) * 100(%)
::: 매입채무 대 재고자산비율
매입채무란 기업이 상품을 매입하면서 발생한 채무로, 외상으로 물건을 산것과 같습니다. 그리고 재고자산이란 기업이 보유하고있는 자산입니다. 따라서 매입채무 대 재고사잔비율이 높다면 자산대비 채무가 많은것이므로 위험한 상황입니다.
매입채무 대 재고자산비율(%) = (매입채무 / 재고자산) * 100(%)
| 수익성 평가
기업이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지에 대한 평가입니다.
::: 듀퐁의 ROI 분석법
- 총자산순이익율(ROA Return on Assets)
총자산이란 부채와 자기자산의 합계입니다. ROA는 자산총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잘 올리고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, 해당 기업 경영자의 입장에서 기업이 잘 운영되고 있는지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ROA = (당기순이익 / 총자본) * 100(%)
- 자기자본이익율(ROE Return on equity)
자기자본은 부채를 제외한 기업의 자산을 말합니다. ROE는 부채를 제외한 기업 순수 자산으로 얼마나 수익을 잘 올리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, 주주의 입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(주주의 입장에서는 지분[회사자산] 대비 수익률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.)
ROE = (당기순이익 / 자기자본) * 100(%)
::: 매출액 이익률
매출액 대비 순익이 얼마나 되는지 효율성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. 수치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상황입니다.
매출액 순이익률(%) = (당기순이익 / 매출액) * 100(%)
| 활동성 평가
자산의 활용도에 대한 평가입니다. 아래와 같이 회전율로 끝나는 지표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.
::: 총자산회전율
1년동안 기업의 총 자산이 몇 회나 회전하였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. 기업의 경영진이 매출을 올리기 위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.
총자산회전율(회) = 매출액 / 총자본
::: 재고자산회전율
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판매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.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적은 재고자산으로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것으로, 효율적인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.
재고재산회전율(회) = 매출액 / 재고자산
::: 매출채권회전율
매출채권(기업이 외상으로 상품을 팔아 받은 채권)을 얼마나 빠르게 회수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.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으면 매출채권을 순조롭게 현금화 하고 있다는 것으로, 유동성이 좋은 상태입니다.
매출채권회전율(회) = 매출액 / 매출채권
'유통관리사 2급 이론정리 > 1과목-유통/물류일반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장 - 파생상품을 통한 위험관리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 (0) | 2017.09.26 |
---|---|
20장 - 자본구조이론, 유통예산과 비용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 (0) | 2017.09.26 |
18장 - 재무관리 Part.2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 (0) | 2017.09.25 |
17장 - 재무관리 Part.1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 (1) | 2017.09.24 |
16장 - 인적자원 활용과 배치, 임금과 복리후생 (유통관리사 2급 요점정리) (0) | 2017.09.24 |